[첨단공공서비스] 2023 ICT MEGATREND 2023-04-21
[목차] Ⅰ. 2023년 주요 기술 트렌드 1. Gartner 2023년 10대 전략기술 트렌드 2. Forbes 2023년 10대 기술 트렌드 3. MIT Technology Review 2022년 10대 기술 4. CB Insights 2022년 주목해야할 12개 기술 트렌드 5.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3년 ICT 10대 이슈 Ⅱ. 2023년 ICT 10대 기술 1. 메타버스 2. 클라우드/엣지 컴퓨팅 3. 디지털 보안 4. 5G+/6G(네트워크) 5. 양자(차세대) 컴퓨팅 6. 차세대 SW 개발 7. 프라이버시 보호(디지털 인증) 8. 웹3.0 9. 생성형 AI 10. 지능형 팜봇...
[첨단공공서비스] 2023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서비스 사례집 2023-04-21
[목차] Ⅰ 사업 소개 1. 사업 목적 2. 추진 체계 3. 추진 경과 4. 연도별 사업 현황 Ⅱ 2019~2021년 서비스 소개 1. 2021년 사업(5개 과제) 2. 2020년 사업(5개 과제) 3. 2019년 사업(3개 과제) Ⅲ 2022년 사업 소개 및 담당자 인터뷰 1. 지능형 민원서식 작성 도우미 서비스 확산(경남 김해시) 2. 스마트 민원서식 작성 시스템 구축(서울시 성동구) 3. AI기반 지능형 119신고접수 및 재난대응 협업 플랫폼 개발(대전 소방본부) 4. 3D 위치기반 국립공원 통합 재난안전 스마트 플랫폼 구축(국립공원공단) 5. Cloud 플랫폼 구축과 대기환경 측정망 구현 및 AI 기반 대응시스템 개발(서울시 도봉구)...
2022년 지방자치단체 디지털 수준진단 -진단모형 및 지표 개선- 2023-04-11
본 연구과제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22년 정책연구과제로 수행되었습니다. 출처를 밝히지 않고 이 보고서를 무단전제 또는 복제하는 것을 금하며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목 차] I. 서 론 1. 연구 추진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II. 지방자치단체의 디지털 수준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수준 1) 디지털 전환 2) 디지털 수준 2. 디지털정부 1) 디지털정부의 의미 ...
디지털 지방의정 표준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2023-03-06
본 보고서는 자치분권 2.0 및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는 지방의정 표준모델 정립을 위한 연구 결과입니다. <목 차> Ⅰ. 연구 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지방자치2.0 기반의 디지털 지방의회 1. 지방자치의 정의 2. 지방의회 역할과 업무 기능 3. 디지털 지방의정 정의 4. 분석 시사점 요약 ...
2022 문서24 이용사례집 2023-01-12
2022 문서24 이용사례집 - 소상공인 및 협력업체와 더불어 함께 만드는 문서24 - 공공행정 서비스의 질을 높여준 문서24 - 안전한 문서유통 채널 문서24 - 나의 새로운 시작과 함께한 문서24 - 오늘도 나는 문서24로 일합니다 - 법인 정기 세무조사 자료 문서24로 편리하게 제출! - 매출을 증가시켜준 문서24 - 매출을 증가시켜준 문서24 : 석유제품 판매실적 문서24로 안전하게 제출해요 - 데이터활용! 문서24 디지털 공공서식! - 정비사업조합에서도 업무에 바로 활용하는 문서24 - 취업연계도 봉사활동도 문서24로 소통해요...
2012년 지역정보화 동향분석 제9호 : 정보화 관련 법안의 제개정 동향 2012-10-30
이번 지역정보화 동향분석 제9호는 제19대 국회에 제출된 법안 중 정보화 관련 법안의 제정 및 개정 동향을 전달하고자 스마트워크 촉진법안 및 국가정보화 기본법 개정안의 주요내용을 준비하였습니다. o 제 목 : 정보화 관련 법안 제개정 동향 o 주요내용 - 스마트워크 촉진법안의 발의 배경 및 주요내용 - 국가정보화 기본법 개정 배경 및 주요내용 ...
2012년 지역정보화 동향분석 제7호 : ICT 거버넌스 체계 개편논의 및 관련 동향 2012-09-13
지역정보화 동향분석 제7호 입니다. 제7호는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ICT 거버넌스 체계 개편에 대한 논의, 그리고 해외 정보화 추진체계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o 제목 : ICT 거버넌스 체계 개편논의 및 관련 동향 o 주요내용 - 주요국의 정보화 추진체계 - 우리나라 ICT 추진체계 개편 시각 - ICT 총괄기구 설립에 대한 논의 ...
소셜미디어의 활용실패 및 극복사례 연구 2012-08-03
본 연구과제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12년 수시연구과제로 선정되어 수행 되었습니다. [주요내용] - 소셜미디어 활용의 양면성 - 소셜미디어 활용의 기회와 도전 - 소셜미디어의 역기능적 측면과 유형화 모델 - 유형별 소셜미디어 폐해 사례 분석 - 소셜미디어 위기에 대한 대책 등 문의처: 02-2031-9259 ...
2012년 지역정보화 동향분석 제3호 :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 활용과 전략 2012-04-30
2012년 제3호는 올해 IT기술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Big Data"에 관한 내용입니다. 빅 데이터를 활용해 해외는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국내외 빅데이터 추진전략은 어떻게 되는지가 기술하였습니다. ○ 제 목 :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 활용과 전략 ○ 주요내용 - 빅 데이터의 개념과 특징 - 해외의 빅데이터 활용사례와 전략 - 우리나라 빅데이터 추진전략...
2012년 지방자치단체 국가정보화 시행계획 2012-02-01
본 과제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11년 수시과제(업무지원)로 수행되었습니다. [주요내용] - 11년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추진규모 - 2012년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추진계획 *사업수, 총 사업예산 *국가정보화 방향과의 부합성 *사업유형, 재원현황, 목별현황, 정보보호사업 및 모바일 사업계획 등 문의처: 02-2031-9259 ...
연방정부의 IT R&D 투자전략 2006-11-22
지역정보화지(2001년 겨울호, vol.18)에 실린 PITAC REPORT입니다.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십시오. * 보다 자세한 정보는 "u지역정보화"의 지역정보화지 PDF서비스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ulocal.kali.or.kr/monthly/pdf/read.asp?category=9&idx=122 ...
[첨단공공서비스] 2022 우수서비스 가이드 2022-04-07
2022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우수서비스 가이드입니다. [목차] 1. 실시간 재난.응급상황 공유 서비스를 활용한 스마트 119 / 경남 소방본부 2. 스쿨존 스마트 통행안전 시스템 / 서울 양천구 3. 지능형 민원서식 작성 도우미 서비스 / 제주특별자치도 4. 스마트 소화전 원격관리 및 실시간 출동 지원 서비스 / 경북 소방본부 5. IoT기반 스마트 글라스 활용 원격 안전점검 시스템 / 경기도 6.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미러 민원안내시스템 / 대전광역시 7. 지능형 스마트선별관제 시스템 구축 / 서울 성동구 8. 인공지능 객체인식 기반 대형폐기물 처리시스템 구축.확산 / 서울 은평구 9. 첨단 IoT기술 기반 범죄 피해자 접근 보호장치 및 시스템 / 법무...
[첨단공공서비스] 2022 ICT MEGATREND 2022-02-24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2022 ICT MEGATREND입니다. [목차] Ⅰ. 2022년 주요 기술 트렌드 1. Gartner 2022년 차세대 전략기술 트렌드 2. Forebes 포브스 팬데믹 기술 트렌드 3. Forebes 2022년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 트렌드 4.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국내외 ICT Spot Issue 5.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CT 산업 전망 주요 이슈 6. Mckinsey 향후 10년을 주도할 기술 트렌드 7. EU 집행위원회 차세대 신흥기술 전망 Ⅱ....
2021년 지방자치단체 디지털 수준진단 연구 2022-02-24
본 연구과제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21년 정책연구과제로 수행되었습니다. 출처를 밝히지 않고 이 보고서를 무단전제 또는 복제하는 것을 금하며,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I. 지방자치단체 디지털 수준진단 개요 1. 디지털 수준진단 배경과 목적 2. 디지털 수준진단의 이해 3. 디지털 수준진단 모형 II. 디지털 수준진단 정량결과 분석 1. 디지털 수준진단 정량분석 개요 2. 디지털 수준진단 정량진단 종합분석 III. 디지털 수준진단 정성결과 분석 1. 디지털 수준진단 정성분석 개요 2.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 3. 우...
자치분권 2.0 시대 디지털 지방의회 구현방안 연구 2022-02-11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지방자치법 개정과 지방의회의 변화 방향 제1절 지방자치법 개정 제2절 지방의회 기능과 정책 환경 제3절 지방의회의 변화 방향과 정보시스템 지원 필요성 제3장 디지털 지방의회 구현을 위한 지방의회 정보시스템 현황 조사 제1절 국회 정보시스템 현황 조사 제2절 지방자치단체 의결기관 정보시스템 현황 제3절 해외 주요 국가의 지방의회 정보시스템 현황 조사 제4절 시사점 제4장 지방의회 표준정보시스템 구현 방안 제1절 공공 민간 협력 추진 제2절 디지털 지방의회 추진 방안 제3절 디지털 지방의회 구현...
데이터 기반행정 활성화 정책 및 참고 조례(안) 연구 2022-01-27
본 연구는 국내외 데이터기반행정 관련 사례를 파악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기반행정 조례 제정 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출처를 밝히지 않고 본 연구를 무전전재 또는 복제하는 것을 금하며,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국내 데이터기반 행정 정책 현황 및 추진사례 조사 분석 3. 국외 데이터기반 행정 정책 현황 및 추진사례 조사 분석 4. 데이터기반 행정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입법 동향 조사 분석 5.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 참고 조례(안) 및 가이드라인 6. 지방자치단체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를 위한 혁신방안 7. 결론 부록 oo시 데이터기반...